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 해결
- 궁금증해결
- 2020. 9. 18. 14:55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폴더를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 해두면 매번 사용할 적마다 찾아들어갈 필요 없이 편리하겠죠? 윈도우 이전 버전에선 바탕화면으로 드래그 앱 드롭만 해도 바로가기가 만들어졌는데, 윈도우10에선 이 방법이 통하지 않습니다.
윈도우10을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는 새로 배워둬야 할 것 같습니다. 아직 이 방법을 몰라 불편한 유저분들 주목해주세요. 쉽게 가르쳐드리겠습니다.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 - 새로 만들기
바탕화면 빈 곳에 마우스 포인터를 두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 그리고 새로 만들기를 선택하고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바로가기 만들기 창이 뜹니다. 예를 들어 제가 자주 사용하는 포털 사이트 네이버로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를 시도해보겠습니다.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를 위해 항목 위치 입력에 네이버 주소를 입력합니다. www.naver.com 을 오타 없이 잘 입력 후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그리고 바로 가기에 사용할 이름을 입력해야 합니다. 기본 값은 '새 인터넷 바로 가기'이지만 식별하지 좋도록 '네이버'로 수정하고 마침 버튼을 누르면 바탕화면에 네이버 바로가기가 만들어졌습니다.
새로 만들어진 네이버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는 아주 작동이 잘 됩니다. 이 아이콘을 작업표시줄로 옮겨서 고정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콘 선택 후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후 작업표시줄로 드래그하면 추가가 됩니다. 필요 없어지면 작업 표시줄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클릭 후 마우스 우클릭으로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 - 바탕화면으로 바로가기
저는 이번 포스팅을 준비하면서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가 2가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첫번째 방법은 위에 올려서 아실 것이고 두번째 방법은 바로 여러 창이 열려 있더 상태에서 한 번에 바탕화면으로 바로가기를 하는 거죠. 물론 작업표시줄 오른쪽 끝 모퉁이를 눌러도 갈 수 있지만 번거롭습니다.
그래서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 아이콘을 만들어서 이 문제를 해결해보겠습니다. 윈도우10에서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는 별도의 명령어로 이뤄집니다. 그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windir%\explorer.exe shell:::{3080F90D-D7AD-11D9-BD98-0000947B0257}
다음 과정에 위에 설명드린 방법과 다르지 않습니다. 바탕화면 빈 곳에 마우스 포인터를 두고 마우스 우클릭 후 새로 만들기 - 바로 가기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바로가기 만들기의 항목 위치 입력에 알려드린 명령어를 입력 후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바로 가기의 이름을 알아보기 편하게 입력한 후 마침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바탕화면에 새로 생긴 폴더 모양의 아이콘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폴더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작업 표시줄에 고정이 보입니다. 이걸 해줘야 해요. 그래야 다른 작업을 하다 작업표시줄의 아이콘 클릭 한번으로 바탕화면으로 바로 갑니다. 이렇게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가 완료되었다면 바탕화면의 해당 아이콘은 삭제해도 상관없습니다.
아이콘 바꾸기
그런데 아이콘이 하는 업무에 어울리지 않는 것 같아 아이콘을 변경하고 싶습니다. 이때는 아이콘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을 선택해 속성 창을 띄웁니다. 아이콘 바꾸기 버튼이 보이죠? 마음에 드는 아이콘 선택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속성 창에서 적용 후 확인을 눌러주면 바탕화면의 폴더 모양 아이콘이 변경되었습니다.
바로가기 단축키
바탕화면으로 바로가기를 단축키로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비좁은 틈을 눌러 바탕화면으로 이동하거나 번거롭게 바로가기 만들기를 할 필요도 없죠. 윈도우키와 D키를 동시에 누르면 됩니다. 너무 편해서 저는 이 방법을 알고 이 방법만 사용합니다.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그 의미가 2가지라고 하더라도 원칙은 변하지 않습니다. 네이버나 바탕화면으로 이동하는 이 방법을 활용할 경우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는 자주 사용하는 폴더를 작업표시줄에 고정해놓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답니다.
'궁금증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검사 과태료 기억해 (0) | 2020.09.23 |
---|---|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 초간단 (0) | 2020.09.22 |
한부모가정 자격조건 (0) | 2020.09.16 |
209시간 계산법 기억해 (0) | 2020.09.15 |
면허증 갱신 간단해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