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시급 월급 계산법 초간단
- 궁금증해결
- 2020. 9. 22. 17:31
매해 최저시급 논의에 대한 뉴스가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아마도 최저시급이 근로자의 입장에서나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따라서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은 우리 모두에게 의미가 있는 것으로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최저시급은 물론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까지 확실하게 배워둬야겠습니다. 아는 만큼 나의 권리를 지킬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최저시급이란?
나라에서는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근로자의 최저임금 수준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업주에게 해당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로록 법으로 지정된 것입니다. 1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은 반드시 이 제도를 지켜야 합니다.
최저임금제를 지키지 않는다면 사업주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며 이 두 가지 처벌을 모두 받을 수도 있습니다. 단기 아르바이트라고 해도 이 최저시급은 지켜져야 하고 수습이라고 해도 최저임금은 준수해야 합니다.
2020년 최저시급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을 알기 위해선 우선적으로 올해 최저시급을 알아야겠죠? 매해 올해는 시급 1만원을 언급하지만 2020년 올해의 최저시급은 8,590원입니다. 지난 해 대비 2.87% 240원이 인상되었습니다. 2021년은 8,720원으로 올해 대비 1.5%가 인상될 예정입니다.
최저시급 만큼 중요한 것이 주휴수당입니다. 1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모두 채운 근로자에게는 유급 주휴일을 줘야 하기 때문에 최저시급만큼 근로자의 급여에 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시간제 근로자의 경우 1주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주휴수당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주휴수당은 정해진 출근일에 지각, 조퇴, 휴업은 무관하게 모두 개근을 해야 합니다. 마지막 주는 참고로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4대 보험 가입여부도 무관합니다. 근로계약서 여부도 상관없죠. 주휴수당을 미지급한 사업장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
올해의 최저시급에 대해 알았으니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에 적용해보겠습니다. 하루에 8시간을 근무하므로 일급은 8,590원 * 8시간 즉 68,720원입니다. 1주일에 5일을 근무하므로 주급을 계산하면 68,720원 * 40시간 + 주휴수당 68,720원 하면 412,320원이 됩니다.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에서 한 달은 209시간으로 계산합니다. 209시간은 일주일을 48시간(8시간*5일+주휴수당)으로 계산하고 여기에 4.345주를 곱하면 208.56시간이 나와 209시간으로 정합니다. 4.345주는 1년 365일을 7일로 나누면 총 52.14주이고 이를 다시 12로 나누면 1달이 4.345주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이제 월 소정근로시간이 나왔으니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이 명확해집니다. 8,590원 * 209시간을 하게 되면 월 최저급여는 1,795,310원이 됩니다. 이를 연봉으로 계산해보면 세금 공제전 금액으로 21,543,720원이고 세금을 공제하면 19,449,984원이 됩니다.
2021년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
2021년의 최저 시급은 이미 8,720원으로 고시된 바 있습니다.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에 대해 알고 있는 우리는 2021년 최저임금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월급으로 환산한다면 1주 소정 근로시간인 40시간, 유급 주휴를 포함해 월 209시간을 근무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겠습니다.
일급은 8,720원 *8시간=69,760원이고 주급은 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8,720원*40시간 + 69,760원 =418,560원입니다. 월 209시간 근무시 8,720원*209시간 = 1,822,480원입니다. 이는 202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적용되며 모든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그렇다면 2021년 최저시급이 8,720원일 경우 주휴 수당은 얼마가 될까요? 주휴수당은 1주일 만근시 주어지는 유급 주휴 수당으로 1일분의 임금이 추가 지급됩니다. 물론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주휴수당은 8,720원*8시간 = 69,760원입니다. 알바몬의 주휴수당 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최저시급은 물론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었습니다. 계속되는 세계 경제 불황으로 시급 1만원의 시대는 아직은 요원해 보입니다. 최저시급이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이상 근로자도 사용자도 상생할 수 있는 시대가 빨리 도래하길 바래봅니다.
'궁금증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주운전 처벌기준 핵심만 (0) | 2020.09.24 |
---|---|
자동차검사 과태료 기억해 (0) | 2020.09.23 |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 해결 (0) | 2020.09.18 |
한부모가정 자격조건 (0) | 2020.09.16 |
209시간 계산법 기억해 (0) | 2020.09.15 |